파이어족을 꿈꾸는 신혼부부의 재테크 이야기

안녕하세요 쏠쏠한 재테크입니다.

우리의 쏠쏠한 재테크 이야기

쏠쏠한 재테크

투자지표: 윌리엄스 패닉지수란 무엇일까

쏠테크 2022. 7. 22. 15:19
반응형

오늘은 요즘 경제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윌리엄스 패닉 지수'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어제(21일) 윌리엄스 패닉지수에 근거하여 90여 년 동안 단 18번의 신호밖에 나타나지 않았던 매수신호가 뉴욕증시에 나타났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월가의 베테랑 투자자이자 기술적 분석가인 래리 윌리엄스가 만든 신호인 윌리엄스 패닉 지수는 '시장에서 투자자가 보유 자산을 대량으로 매각할 때' 나온다고 합니다. 

그러나 윌리엄스 지수를 분석해보면, 매수 뿐 아니라 매도시기 또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주가가 바닥일 때 나타난다는 매수신호를 알 수 있는 윌리엄스 패닉 지수란 무엇인지와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윌리엄스 패닉지수란

윌리엄스 패닉 지수는 다른 말로 '윌리엄스 퍼센트 범위'라고 합니다. 이는 어떤 기간의 최고 및 최저 가격에서 그날 주식 종가의 상대적 위치를 보여주는 기간(모멘텀) 지표입니다. 

과매수 혹은 과매도된 시기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흔히 알려진 스토캐스틱의 더 민감하지만 덜 사용되고 있는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스토캐스틱은 시간 범위에서 가장 낮은 가격을 사용해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며,

윌리엄스 지표는 가장 높은 가격을 사용하여 장 마감 가격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합니다.

윌리엄스 지수 계산법
윌리엄스 지수 계산법

가장 높은 가격을 기준으로 %를 산정하기 때문에 지수는 0 ~ -100까지의 음수(-)가 나오게 됩니다.

실제로 윌리엄스 지표의 % R 라인을 반전하면 스토캐스틱의 % K 라인과 동일한 선이 생깁니다.

모멘텀 지표로써 현재 추세의 강도를 측정한다는 점에서 RSI(Relative Strength Index)와 유사하나, RSI는 추세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0 ~ 30% 구간을 과매도, 70 ~ 100% 구간을 과매수 구간으로 산정하는 반면,

윌리엄스 지수는 -20, -80의 극단적인 수준을 신호로 사용하며

-20 이상(0 ~ -20)은 과매수, -80 이하(-80 ~ -100)는 과매도를 보여줍니다. 

과매수는 가격이 최근 범위의 최고치에 근접했음을, 과매도는 가격이 최근 범위의 최저치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 중간값은 -50을 기점으로

매수 종가가 -50 이상(0 ~ -50)이면 가격이 강세(상승세) 임을 나타내며,  -50 미만(-50 ~ -100)이면 가격이 약세(하락세) 임을 나타냅니다. 

 

윌리엄스 패닉 지수 적용하기

그렇다면 실제 그래프에 한번 적용해보겠습니다.

윌리엄스 지수 그래프에 적용하기
윌리엄스 지수 그래프에 적용하기

그래프는 유로/달러 환율입니다.

가로 파란선은 -20선, 가로 빨간 선은 -80선입니다.

 

그래프는 -20 이상으로 넘어가서 가장 높은 꼭짓점(빨강)을 찍자 가격이 하락하고,

두 번째 꼭짓점은 첫 번째보다 낮은 가격에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과매수가 적어진 신호, 즉, 가격 하락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과매수 시그널이 떨어지자 가격이 계속해서 하락하다가

아래쪽 꼭짓점(초록)이 -80 이하로 내려가자 가격이 소폭 상승하였으며, 

두번째 과매도를 나타내는 꼭짓점은 첫번째보다 높이 형성되었고, 이는 과매도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가격이 다시 상승할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지수가 -20 이상으로 이동한 후 다시 -20 이상을 찍지 못했을 때는 상승 모멘텀이 약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지수가 -80 미만으로 이동한 뒤 다시 -80 미만으로 나타나지 않으면 하락 모멘텀이 약화된 것을 알 수 있으며, 가격이 오를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달 17일 보인 매수신호 또한 과매도 구간인 '-80 ~ -100' 구간을 벗어났으며,

윌리엄스 지수가 이전 지수들보다 현저히 정상범위에 들어온 것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지수가 -80 미만이던 것이 -80 이상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하락 모멘텀이 약화되었고,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